세포재프로그램 및 발생공학 연구실 (Cellular Reprogramming and Embryo Biotechnology Laboratory)
노상호 교수|Sangho Roh,
D.V.M., Ph.D.
학력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사(1992)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박사 (1998)
경력
- 1998.05 - 1998.08 미국 UC Davis 대학 박사후 연구원
- 1998.09 - 2002.02 한경대학교 (안성) 전임강사/조교수
- 2001.01 - 2003.08 호주 Monash 대학 Research Fellow
- 2003.09 - 현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연구분야
만능줄기세포는 자가증식(self-renewal)이 가능하고 전분화능(pluripotency)을 가지고 있어 기초 생명현상 연구에서 치료목적의 임상적 응용까지 그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실험동물을 비롯하여 확립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중대동물의 배아줄기세포 확립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또한 체세포 핵이식을 통한 맞춤형 배아줄기세포치료의 기초연구 및 복제효율향상 기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특정 유전자 삽입을 통해 유도된 만능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구는 줄기세포의 최종 활용목적인 세포치료의 적용에 한걸음 다가가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연구방법
- 미성숙 난자 체외성숙 및 배양
- 미세조작기술 (미세주입, 탈핵 및 핵이식)
- 체외수정, 단위발생 및 핵이식 유래 배아의 체외배양기술
- 배아줄기세포 및 각종 성체 줄기세포 배양기술
- 소분자 물질을 통한 배아줄기세포 확립 및 장기 배양
- 배아줄기세포 유래 골세포 및 연골세포 유도
- 유전자 삽입을 통한 리프로그래밍 유도
- 소분자 물질을 통한 리프로그래밍 효율 증강
- 줄기세포에 RNAi 기법 적용을 통한 연구
대표 연구업적
- Kang H, Sung J, Jung HM, Woo KM, Hong SD, Roh S (2012) Insulin-Like Growth Factor 2 Promotes Osteogenic Cell Differentiation in the Parthenogenetic Murine Embryonic Stem Cells. Tissue Engineering Part A. 18:331-341.
- Kim K, Park S, Roh S (2012) Lipid-rich blastomeres in the twocell stage of porcine parthenotes show bias toward contributing to the embryonic part. Animal Reproduction Science, 130:91-98.
- Kang H, Roh S (2011) Extended exposure to trichostatin A after activation alters the expression of genes important for early development in nuclear transfer murine embryos. J Vet Mad Sci, 73:623-631.
- Park SK, Won C, Choi YJ, Kang H, Roh S (2009) The leading blastomere of the 2-cell stage parthenogenetic porcine embryo contributes to the abembryonic part first. J Vet Mad Sci. 71:569-576.
- Roh S, Choi HY, Park SK, Won C, Kim BW, Kim JH, Kang H, Lee ER, Cho SG (2009) Porcine nuclear transfer using somatic donor cells altered to express male germ cell function. Reproduction, Fertility and Development. 21:882-891.
Tel: 02-740-8681 Fax: 02-745-1907 E-mail: sangho@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