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질환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병원균의 인체 감염기전과 이에 대응하는 인체의 면역반응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본 연구실은 면역학, 미생물학, 분자생물학을 기반으로, (1) 숙주와 병원성 미생물의 상호작용 규명을 통한 병인기전연구, (2) 미생물 특이분자패턴(Microbe-Associated Molecular Pattern;MAMP)에 의한 면역반응 연구, (3) MAMP에 의한 골대사 조절연구, (4) 백신과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1. 숙주-미생물 분자상호작용 연구
- 그람양성균의 주요 MAMP인 lipoteichoic acid의 분자구조와 면역학적 특성 규명
-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숙주세포에 부착, 침투, 면역회피 과정에서 MAMP의 역할
2. 박테리아 병원성과 면역반응 연구
- MAMP 단독 및 상호작용에 의한 염증유발 기전과 선천성 면역반응 규명
- 실험동물에서 박테리아 감염질환 유발기전과 MAMP의 역할 규명
3. 골면역학(Osteoimmunololgy) 연구
- 면역시스템과 골대사 조절과의 상호작용 연구
- 미생물과 MAMP에 의한 파골세포/조골세포 분화 및 활성화 조절 연구
4. 백신과 수지상세포 연구
- 백신 조성과 투여방법에 따른 면역반응 특성규명과 백신효능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법 개발
- 수지상세포의 분화, 표현형, 기능 연구와 우수 세포치료제 개발 연구